서울 경전철 신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2006년 사업 제안을 시작으로 2022년 5월 28일 개통된 경전철 노선이다. 샛강역에서 관악산(서울대)역까지 총 11개의 역을 운영하며,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7호선, 9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남서울경전철 SL000호대 전동차를 사용하며, 보라매공원 지하에 차량기지가 위치한다. 샛강역에서 여의도성모병원역까지, 보라매공원역에서 난곡사거리, 미성, 난곡, 난향을 잇는 난곡선 연장 계획이 검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보라매차량사업소
보라매차량사업소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전동차의 정비, 유치 등을 수행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이다.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남서울경전철 SL000호대 전동차
K-AGT 고무차륜을 사용하는 남서울경전철 SL000호대 전동차는 3량 1편성으로 완전무인 자동운전 방식으로 운행되며, SL01~SL12편성이 보라매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샛강역에서 관악산역 구간을 운행한다.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강북구 북한산우이역부터 동대문구 신설동역을 잇는 총 연장 11.4km의 대한민국 최초 완전 지하 경전철 노선으로, 2017년 9월 개통되어 무인자동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향후 1호선 방학역 연결 지선 건설 계획이 있다.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와 신사역을 잇는 노선으로, GS건설이 사업을 주관하며, 하남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고,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어 재정 문제 우려가 있지만 위례신도시와 강남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20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신분당선
신분당선은 용산에서 광교를 잇는 광역철도로,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수도권 전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개통 이후 역 신설, 운임, 노선 명칭 등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으며 향후 호매실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 20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신림선 |
로마자 표기 | Sillim Line |
한자 표기 | 新林線 |
유형 | 경전철 / 통근 철도 |
시스템 | 서울 지하철 |
상태 | 운영 중 |
기점 | 샛강역 |
종점 | 관악산역 |
역 수 | 11 |
개통일 | 2022년 5월 28일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
차량 기지 | 보라매차량사업소 |
사용 차량 | 12 × 3량 우진 SL000 |
노선 길이 | 7.8km |
선로 수 | 2 |
전기화 방식 | 직류 750V |
궤간 | 1,700mm |
최고 속도 | 60km/h |
![]() | |
![]() | |
![]() | |
노선 정보 | |
노선 구조 | 본선 |
영업 거리 | 8.1 km |
선로 | 2 |
신호 | LS ELECTRIC LTran-CX RF-CBTC [무인 반자동운전] |
영업 최고 속도 | CBTC 구간 60 km/h |
설계 최고 속도 | 70 km/h |
2. 연혁
- 2006년 3월: 민간사업자가 서울 경전철 신림선 사업 제안서를 제출하였다.[22]
- 2008년 11월: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승인하였다.[12]
- 2009년 11월: 제3자 제안공고[13]
- 2010년 2월: 사업제안서 접수[14][15]
- 2010년 3월: 협상대상자 지정[16]
- 2010년 4월: 협상 실시
- 2014년 12월: 협상 종료
- 2015년 4월 17일: 민간투자심의위원회 의결
- 2015년 9월 7일: 기공식[27]
- 2016년 9월 8일: 실시계획 고시[28]
- 2017년 2월 3일: 착공[29]
- 2018년 하반기: 샛강 ~ 대방 구간 설계변경[30]
- 2021년 1월~9월: 시운전[31][32]
- 2021년 2월 15일: 110역을 제외하고 역명 결정[33]
- 2021년 6월 17일: 숯고개역에서 서원역으로 변경[34]
- 2021년 9월 16일: 110역을 서울대벤처타운역으로 역명 결정, 관악산역에서 관악산(서울대)역으로 변경[35]
- 2021년 12월~2022년 5월: 종합시범운행[36]
- 2022년 5월 28일: 개통
2. 1. 사업 추진
2006년 3월 민간사업자가 서울 경전철 신림선 사업 제안서를 제출하였다.[22] 2008년 11월에는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승인하였다.[12] 이후 2009년 11월 제3자 제안공고[13], 2010년 2월 사업제안서 접수[14][15], 2010년 3월 협상대상자 지정[16], 2010년 4월 협상 실시, 2014년 12월 협상 종료, 2015년 4월 17일 민간투자심의위원회 의결을 거쳤다. 2015년 9월 7일 기공식[27]을 거쳐 2016년 9월 8일 실시계획이 고시되었고[28], 2017년 2월 3일 착공하였다.[29]2018년 하반기에는 샛강 ~ 대방 구간 설계가 변경되었고[30], 2021년 1월부터 9월까지 시운전[31][32], 2021년 12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종합시범운행을 거쳤다.[36] 역명은 2021년 2월 15일 110역을 제외하고 결정되었으며[33], 2021년 6월 17일 숯고개역을 서원역으로 변경하였다.[34] 2021년 9월 16일에는 110역을 서울대벤처타운역으로, 관악산역을 관악산(서울대)역으로 변경하였다.[35] 2022년 5월 28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개통되었다.
2. 2. 건설 및 개통
2006년 3월 민간사업자가 서울 경전철 신림선 건설 제안서를 제출하였다.[22] 2008년 11월에는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승인했다.[12] 이후 2009년 11월 제3자 제안공고[13], 2010년 2월 사업제안서 접수[14][15], 2010년 3월 협상대상자 지정[16], 2010년 4월 협상 실시, 2014년 12월 협상 종료, 2015년 4월 17일 민간투자심의위원회 의결을 거쳤다.2015년 9월 7일 기공식을 열고[27], 2016년 9월 8일 실시계획이 고시되었으며[28], 2017년 2월 3일 착공하였다.[29] 2018년 하반기에는 샛강 ~ 대방 구간 설계가 변경되었고[30], 2021년 1월부터 9월까지 시운전을 진행했다.[31][32] 2021년 2월 15일에는 110역을 제외한 역명이 결정되었고[33], 2021년 6월 17일 숯고개역이 서원역으로 변경되었다.[34] 2021년 9월 16일에는 110역이 서울대벤처타운역으로, 관악산역이 관악산(서울대)역으로 변경되었다.[35] 2021년 12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종합시범운행을 거쳐[36] 2022년 5월 28일 개통되었다.
3. 노선
(성애병원) (Daebang)
(성애병원)한국어
(전문건설회관) (Boramae Medical Center)
(전문건설회관)한국어
(서울대) (Gwanaksan)
(서울대)한국어